티스토리 뷰
목차
[인터넷 속고 측정 방법]
얼마 전,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아주 속 터지는 사실일 밝혀졌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사격에 비해서 인터넷 속도가 너무 느리게 나온다는 것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인터넷이 어느 정도 빠르면 신경 쓰지 않고 살았는데 이번에 공개된 인터넷 속도를 보면 너무 큰 차이가 나서 화가 납니다.
그동안 우리는 각 통신사에서 제대로 된 품질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통신사가 소비자를 속인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번 논란이 일어난 뒤에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는 “셀프 측정” 방법에 대해서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 집 인터넷은 제대로 속도가 나오고 있는 것일까? 오늘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속도 셀프 측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할 수 있는 곳
- SK 홈페이지
- KT 홈페이지
- LG 유플러스 홈페이지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Fast.com(넷플릭스 제공- 주소창에 바로 입력)
- speedtest.net
SK텔리콤
일반 품질과 기가(500M 이상) 두 가지로 측정
KT
일반 속도(100M 이하), 기가급 속도(100~1G), 10G(1G~10G) 세 가지 종류 있어 자신이 가입한 인터넷 상품에 해당 측정
- KT 홈페이지→ 고객지원 클릭 →품질확인 및 A/S 신청하기 →인터넷 속도측정 클릭→ 로그인 → 프로그램 다운로드
LG 유플러스
고객지원 탭에서 인터넷 속도 측정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속도 측정 프로그램을 설치해 진행
<회원 가입 없이 테스트 할 수 있는 곳은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Fast.com
넷플릭시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인터넷 속도 측정 프로그램으로 아주 간편하게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를 하는데 상당히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와이파이가 되는 곳에서 측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www.fast.com/
speedtest.net
특별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바로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www.speedtest.net/
인터넷 속도 측정을 통해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실시간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 IP 경로 추적 등과 함께 중dkd처리장치, 메모리, 운영체제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각 홈페이지에서 인테넷 속도를 확인한 결과 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 통신사 서비스 이용약관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통신사는 자신들이 지정한 속도 측정 프로그램 기준으로 최저속도 보장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은 약관에도 들어 있어 만약 잘 알지 못하게 되면 각 통신사 약관을 확인하면 됩니다
각 통신사 최저보장 속도 보장 제도
우리나라 통신 3사의 경우 30분 동안 5회 이상 전송 속도를 측정해서 측성 횟수의 60% 이상이 최저보장 속도에 미달 될 경우 해당 일에 대해서 이용요금 감면을 해주고 특히 SKT, KT에서는 월 5일 이상 감면받을 경우 할인반환금 없이 해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