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갤러시버즈라이브(강남콩 이어폰) 스킨캡]

    최근 삼성에서는 에어팟을 겨냥해서 새로운 무선 이어폰을 출시 했습니다. 기존에 갤럭시버즈 시리즈에서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갤럭시버즈라이브입니다. 하지만 출시 되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벌써부터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 중에 한 가지는 바로 착용감입니다.

     

     

    갤럭시버즈 시리즈에서도 착용감과 노이즈 컨설링을 기능을 좋게 하기 위해서 있어 갤럭시버즈 플러스 구입 고객들에게 대,,, 이렇게 3가지 크기의 실리콘 폼팁을 제공하고 귓바퀴 모양에 맞는 2가지 실리콘 스킨캡을 기본 구성품으로 제공했습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장착된 갤럭시버즈라이브를 처음 시판 했을 때에는 삼성에서는 큰 귓멍 때문에 크기가 맞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 스킨캡을 제공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고객용 공지글을 삭제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만약 갤럭시버즈 라이브를 구입 후 문제가 발생해 스킨캡을 사용해야 할 고객들은 직접 삼성디지털플라자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번에 새로 출시된 갤럭시버즈 라이브의 경우 기존에 갤럭시버즈에서 많은 문제가 되었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최대한 구현하면서 착용감 문제를 어떻개 극복을 했는지가 최대 관심사 였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갤럭스버즈에서도 착용감 문제로 제공했던 실리콘 스킨캡을 구성품에서 제외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는 것입니다. 삼성에서는 강낭콩 모양의 갤럭스버즈라이브의 적절한 착용 방법을 위해서 스킨캡을 처음부터 기본으로 제공을 했어야 좋지 않았을까 합니다.

     

     

    강낭콩 모양의 버즈라이브를 착용할 때 귓바퀴의 홈에 끼우듯이 고정을 해야 하는데 귓구멍 안쪽가지 깊게 들어가는 커너형과 다르게 귓구명 앞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오픈형 무선 이어폰이라 아무래도 착용감에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삼성 측에서는 인체공학적 설계로 피로감을 덜 주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다고 하지만 귓바퀴가 크거나 작은 사용자들에게는 불편함을 주고 있습니다.

     

     

     

    직접 갤러스버즈 라이브를 구입해 사용해 본 이용자들 중에는 삼성의 착용 가이드대로 갤러스버즈라이브를 끼우면 음삭 소리가 밖으로 새고 노이즈 캔슬링도 충분하게 적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이용자들 중에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좋게 하기 위해서 삼성헤거 권장하는 착용법 대신 귓구멍 깊숙하게 넣어 착용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갤럭시버즈를 사용하고 있는데 노이즈 캔슬링이 제대로 되지 않아 귓구멍 깊숙하게 눌러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착용을 하게 되면 삼성에서는 이어폰에 내장된 안테나가 귀에 가려져 블루투스 성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고 음질이나 사운드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삼성이 내놓은 것이 바로 스킨캡입니다. 삼성은 소비자의 귓구멍 크기로 인해 블루투스 성능에 영향이 있다고 판단 되면 삼성전자 고객선테에서 갤럭스버즈라이브 스킨탭에 대해서 문의를 하면 직원이 갤럭스버즈 라이브가 귀에 헐렁거림이 있는지 직접 확인하고 스킨캡을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삼성 디지털프라자가 아니라 삼성 서비스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것입니다. 

     

    ☞ 갤럭시버즈 라이브와 애플 에어팟 프로 가격 성능 생활방수 스킨캡 제공 계획 비교해 보았어요

     

    갤럭시버즈 라이브와 애플 에어팟 프로 가격 성능 생활방수 스킨캡 제공 계획 비교해 보았어요

    [갤럭시버즈 라이브와 애플 에어팟 프로 비교> 삼성전자는 최근 공개한 무선 이어폰인 <갤럭시버즈 라이브>를 더욱 강하게 광고하기 위해서 이본에 출시한 <갤럭시노트20>에 유선이어폰을 제공��

    dalin2021.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