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건설올패스(ALL-PASS)는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출근, 퇴근 시 근무내역을 기록하는 카드로 카드 한 장에 현장 출입은 물론이고 임금 지급과 금융결제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건설올패스는 ‘하나로 전자카드“라는 명칭에서 바꾼 카드로 내년 1월부터 공공 1억 원, 민간 50억 원 이상 공사 현장에서 근무하는 건설근로자는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카드입니다.

     

    건설올패스-카드
    건설올패스

    1, 건설올패스 카드 의무사용 현장

    ▶공공 공사 현장 : 1억 원 이상

    ▶ 민간 공사 현장 : 50억 원 이상

     

    2, 건설올패스 카드 발급 방법

     

     

    건설올패스 카드는 우체국과 하나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고 건설근로자 전자카드를 대표하는 캐릭터 “건실이”가 카드에 들어가 있습니다.

     

    건설올패스 하나은행 신청

     

    건설올패스 우체국 신청

     

    (1) 직접 방문신청

    : 하나은행/ 우체국

     

    카드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본인 신분증(외국인은 외국인등록증),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을 가지고 하나은행 또는 우체국을 방문해서 발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나은행을 직접 방문해 신청할 경우 “하나원큐앱”을 설치해서 모바일 번호표를 발급받으면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대면 신청으로 발급 받으면 카드 수령까지 조금의 시간이 걸리지만 우체국, 하나은행 직접 방문해 발급 받으면 바로 현장에서 수령할 수 있습니다.

     

    (2) 비대면 신청방법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경우 일하는 시간에 시간을 내서 직접 방문 신청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비대면 신청으로 카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하나은행 건설올패스 모바일 신청하기

     

     

    https://m.hanacard.co.kr/mobile_web/partner/electronic/

     

    건설근로자 하나로 서비스 홈페이지

    카드만 신청하기(계좌와 카드 같인 신청하기)

    안내사항 확인 후 온라인 신청

    카드 교통기능 선택

    본인인증

    이름/ 주민등록번호 입력

    핸드폰 번호 입력

    약관 동의

    신청서 작성

    직장정보 입력

    카드 신청

     

    3, 필요한 서류

    (1) 내국인

    신분증/ 기초안전 보건교육 이수증

     

    (2) 외국인

    외국인 등록증/ 기초안전 보건교육 이수증

    단, 중국인의 경우는 중국 세금 납세자식별번호가 나와있는 신분증을 추가로 제출해야 합니다.

     

    4, 카드 재발급 신청

    카드를 분실하거나 훼손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하나은행 지점이나 우체국을 방문해 재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나은행에서 만든 경우 하나은행으로 우체국에서 만든 경우 우체국으로 방문해야 하지만 다른 금융창구를 방문해도 됩니다.

     

    건설올패스 우체국 신청

     

    건설올패스 하나은행 신청

     

    5, 건설올패스 카드 어플리케이션 사용하기

     

     

    기존에 전자카드를 사용할 때는 건설공제회에서 제공하는 전자카드 단말기를 설치해서 건설근로자는 발급 받은 전자카드를 태그하는 방식으로 관리를 했고 단말기 설치비용은 사업주가 부담했습니다. 하지만 2024년 1월 1일부터는 기존 단말기 또는 모바일 앱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3억 원 이상 공사의 경우는 기존처럼 단말기를 의무적으로 해야 하고 모바일 앱도 이용할 수 있고 3억 원 이하는 단말기 설치의무가 없기 때문에 모바일 앱을 통해서 촐·퇴근 기록을 해야 합니다.

     

    기존 우체국과 하나은행에서 발급받은 전자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기존카드를 그대로 사용하고 “건설올패스”를 신규 발급하는 경우에만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출·퇴근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5.1 신용불량자 또는 불법노동자인 경우

    신용불량자, 불법노동자에 해당해 전자카드를 발급 받을 수 없는 경우는 관할 건설공제회 지사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문의로 임시번호를 발급받을 수 있고 발급 받은 번호로 모바일 앱에 등록해 출·퇴근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으로 출·퇴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업주가 모바일 출·퇴근 가능구역을 설정하고 건설근로자가 해당 퇴직공제 가입 공사현장에 출근하는 경우 공사현장에 사업주가 출·퇴근 가능구역으로 지정한 모바일 구역 안에 들어온 후 모바일 앱으로 출근 또는 퇴근 버튼을 입력하면 됩니다.

     

    5, 문의 사항

    ●건설근로자 공제회 : 1666-1122

     

    ●하나은행 : 1588-1111/1599-1111

     

    ●우체국 고객센터 : 1588-1900, 1599-1900

     

    건설올패스는 2024년부터 건설근로자가 꼭 가지고 다녀야 하는 전자카드로 출·퇴근 기능 외에 건설근로자가 많이 사용하는 식당, 편의점 등에서 결제하며 포인트 적립 혜택 등을 더욱 좋게 합니다.

     

    건설올패스 카드는 하나은행과 우체국 계좌가 없어도 이용할 수 있고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도 적립할 수 있어 건설 현장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이 퇴직금을 마련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나이론 대부 대출 금리 한도 조건 부결 시 대한 상품

     

    나이스론 대부 대출 금리 하도 조건 부결 시 대한 상품

    저신용, 저소득자도 조금은 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있는데 바로 “나이스론대부” 대출입니다. 1 금융, 2 금융권에 비해서 금리는 조금 높은 편이지만 대출 한도도 높고 신청 조건이

    dalin2021.tistory.com

     

    ▶페퍼저축은행 페퍼스비상금대출 무직자 비상금대출 한도

     

    페퍼저축은행 페퍼스비상금대출 무직자 비상금대출 가입대상 한도 대안 상품

    [페퍼저축은행 페퍼스비상금대출] 페퍼저축은행 대출 상품인 “페퍼스비상금대출”은 무직자 등이 받을 수 있는 대출로 신용평점이 350점 이상으로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그래서 주부, 사회초

    dalin2021.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