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숨은 보험금 찾기, 과연 나도 찾지 않은 보험금이 있을까요? 우선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내 보험 찾아줌”을 검색해야 합니다.
“내 보험 찾아줌”에서는 지금까지 내가 가입한 보험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기보험금과 휴면보험금, 중도해지보험금까지 모두 할 수 있습니다. 즉 지금까지 내가 가입한 모든 보험과 숨은 보험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
숨은 보험금 찾는 방법
내보험 찾아줌 → 조회 신청 → 정보동의 → 결과 확인
숨은 보험금 조회하기
“내 보험 찾아줌”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나의 숨은 보험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없을까?”라고 나오면 “숨은 보험금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내 보험 찾아줌 (cont.insure.or.kr/)
조회 신청
- 본인인증- 이름, 휴대폰 번호, 주민번호, 이메일 입력
- 공동 인증서 인증, IPIN인증, 휴대폰 인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참고로 대부분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 인증으로 하고 있습니다.
정보 동의
-모든 내용용을 동의
결과 확인
지금까지 내가 가입한 보험이 공개됩니다. 이때 현재 보험 상태가 유지, 휴면인지 알 수 있습니다. 결과를 확인했다면 이제 내가 가입한 보험 중에서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이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보험가입내역 조회 결과
“보험가입내역 조회 결과”를 보고 소멸된 보험을 확인하고 보험사와 증권번호를 출력하거나 복사, 메모를 하고 난 다음 증권사에 전화를 해서 증권번호 등 간단한 본인 확인을 하고 난 뒤 해약 환급금이 있으면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아직 자신이 청구하지 않은 “미청구 보험금 조회 결과”와 “휴면보험금 조회 결과”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내 보험 찾아줌”에서 확인한 결과는 접수한 날을 기준으로 보험사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보험가입내역 조회 결과”를 보다 더 자세하게 알고 싶은 분들은 직접 보험사에 연락을 해야 합니다.
지급이 종결된 보험의 경우 종료 후 3년 이내까지 조회가 가능하고 새마을금고, 수협, 신협 우체국 등에 가입한 보험은 조회를 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이 만기 된 보험금을 찾지 않는 금액이 무려 11조 원이라고 합니다. 11조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을 찾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안에 내가 들어 있을 수도 있으니 “숨은 보험금 찾기”를 통해서 보험금을 조회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