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유효키워드 검색과 분석- 블랙키위]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도 “키워드”에 관한 주제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이전에
했던 “키워드” 관련 포스팅은 저처럼 “롱테일 키워드”를 찾는 분들을 위해서 제공하고
있는 <KeyWordShitter>라는 사이트에서 키워드를 찾아 “구글 키워드 플래너”에서 광고의
단가나 클릭율, 조회수 방법 등을 알아보는 포스팅을 했습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많은 분들이 조금이라도 단가가 높은 키워드를 찾아서 글을 쓰려고
하는데 광고의 단가가 어느 정도인지 모르고 키워드를 잡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소개한 방법은 정확한 데이터는 아니지만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라 저처럼 초보인 분들이 “롱테일 키워드”를 선정하고 그 키워드에 단가를 어느
정도알아보고 그에 맞게 글을 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난 포스팅은 이 글 맨 아래 “링크”로 걸어 놓았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 하시면 될 듯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우리가 “유효키워드”를 찾고 분석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네이버, 구글, 다음에서 검색을 해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좋은 글을 써서 검색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성으로 쓴 글이 블로그 상단에 노출 되는 것이 아니라 어디에 있는지 글을
쓴 자신도 찾기 힘들 정도로 몇 페이지 뒤에 있다고 하면 너무나 속상하고 힘이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가 어떤 “유효키워드”를 사용하는가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과연 어떻게 “유효키워드”를 찾아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티스토리에 대해서 거의 아무 조건 없이 잘 올려주고 있습니다. 물론 다음에도
검색 엔진이 있지만 네이버나 구글처럼 운영을 하고 있지 않고 티스토리에 호의적이라
다음은 다음으로 미루고 오늘은 네이버와 구글에서 “유효키워드”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여기서 “유효키워드”란 블로그 페이지 1~2 페이지에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유효키워드 검색을 할 때 알아야 할 사항>
1, 자신이 찾는 키워드는 과연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찾을까 하는 검색량입니다.
2,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나오는 서브 키워드를 공략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말하는
롱테일 키워드라고 하는데 블로그 지수가 낮은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3, 자신이 쓴 키워드가 얼마나 블로그 상단에 노출이 될 수 있는지 다른 블로그 글이
어느 정도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오늘 저는 "키워드" 분석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트 중에서 블랙키위 (http://blackkiwi.net/)
라는 사이트에서 어떻게 키워드를 찾아야 하는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블랙키위(http://blackkiwi.net/) 사용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블랙 키위는
네이버에서 유입량을 알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연관키워드", "유사키워드" 등을 알 수
있고 여기에 "월간검색량", "월간 발향량", "검색동향"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제가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입니다.
저는 "다이어트"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이렇게 "연과 키워드"와 "유사키워드"가 나와 있고 "월간 검색량, 발행량"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저 같은 블고그 초보라면 "유사키워드"에서 키워드를 찾는 것이 유리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키워드라 검색량도 많고 키워드 포화 지수도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키워드는 롱테일 키워드로 블로그 작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좀더
구체적으로 키워드를 잡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섹션 배치 순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다이어트"라는 글을 섰을 때 과연
PC에서나 모바일에서 몇 번째 섹션에 나오는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제가 "블랙키위"를
쓰는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섹센 배치 순서"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쓴
"다리어트"라는 키워드는 PC에서는 검색이 나타나지 않고 있고 모바일에서는 "VIEW"가
세 번째 섹션에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PC에서는 전혀 유입을 바랄 수 없게 됩니다.
포시팅을 하기 전에 미리 "섹션 배치 순서"를 보는 것도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 한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로 들어가서 검색을 해보는 것입니다.
네이버 검색을 통해서 "블로그" 영역에 들어가면 지금 네이버에서 포스팅한 글 수가
무려 1천만건이 넘게 나옵니다. 이렇게 많은 포스팅 수에 제가 1~2 페이지에 들어가는
것은 꿈도 꿀 수 없는 일입니다. 그래서 좀더 자세하게 다이어트 키워드(롱테일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제가 다시 "저녁 다이어트 식단"으로 키워드 검색을 한 결과 위에 보는 것 처럼 50만건
정도 줄었습니다. 여기서 더 자세한 키워드를 검색하면 더 적은 블로그 건수를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저 같은 초보자들은 블로그 건수사 3천~7천 정도 사이에 건수가 있는
것부터 차근차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블로그 지수를 올려야 나중에 지금보다
좀 더 최적화된 블로그로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지금까지 불랙키위로 (http://blackkiwi.net/) 키워드 분석 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구글 롱테일 키워드 등록 분석 하고 찾을 수 있는 키워드 쉬터 사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