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정부에서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서 실시할 예정에 있던 “청년도약계좌”가 2023년 6월 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년 동안 70만 원 씩 납입하면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제도로 3년 동안은 고정금리 뒤 2년 동안은 변동금리를 적용하게 됩니다.

     

    -목차-

    1, 가입대상과 대상 제외

    2, 중도해지 사유

    3, 가입신청 방법

    4,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

    5, 청소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도약계좌-홍보물
    청년도약계좌

    1, 청년도약계좌

    생활, 주거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중장기적으로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취지로 실시하게 됩니다.

     

    청년이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일정비율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하고 이자소득 등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는 상품으로 가입자는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고 만기 5년으로 정부 기여금은 월 납입액 40만 원 ~70만 원, 정부매칭 최대 6% 기준으로 합니다.

     

     

    2, 가입대상

    ① 만 19세~34세 청년(병역 이행 한 경우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에서 미산입 됩니다.)

    ②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기준 충족

    ③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청년

    - 정부기여금 지급, 비과세 적용

    ④ 총 급여 기준 6000만 원 ~ 7500만 원인 청년

    - 정부기여금 없이 비과세 혜택반 적용

     

    ※ 2022년 기준중위소득 180%

    가구원수 기준중위소득 180% 건장보험료 본인부담금(고지금액 기준)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 5,868,000 206,291 220,611 209,473
    3 7,550,000 266,083 295,553 272,614
    4 9,218,000 334,652 369,311 350,228
    5 10,844,000 398,320 435,141 434,898
    6 12,433,000 434,898 472,366 473,200
    7 14,005,000 511,709 549,554 567,870

     

    2-1, 가입대상 제외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을 초과한 경우

     

    개인 소득 낮을수록 기여금 차등지원

    가입자 청년의 개인소득과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 지원하게 하고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

    ▲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 – 매월 40만 원 납입한 경우 매칭비율을 최대인 6%를 받을 수 있어 매월 24,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개인소득 3600만 원 이하 – 매월 50만 원을 납입하면 4.6% 적용해 23,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개인소득 4800원 이하 – 매월 60만 원 납입한 경우 3.7% 매칭비울로 매월 22,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 70만 원씩 납입한 경우 3.0% 적용해 매월 21,000원을 지원받게 됩니다.

     

    청년 개인소득에 따라 같은 기여금을 납입하더라도 소득이 적은 청년과 상대적으로 많은 청년이 정부 기여금에 차이를 적게 나도록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저소득층 청년으로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우대금리를 0.5% 더 올려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예정에 있습니다.

     

    5년 만기 수령액은 본인 납입금, 정부 기여금, 이자 합산된 금액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적용합니다.

     

    3, 중도해지 사유

     

     

    ▶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 가입자 퇴직

    ▶ 사업장 폐업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최초 주택 구입

     

    위에 특별중도 해지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본인 납입금, 정부기여금, 이자 비과세 혜택을 모두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4, 가입신청

    6월부터 가입신청을 할 수 있고 비대면 심사를 하고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하게 됩니다.

     

    또한 취급기관 앱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매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신청할 수 있고 이때 개인소득, 가구소득 심사를 하게 됩니다.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으로 하고 개인, 가구소득은 직전 과세기간 2022년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 2021년 과세기간 소득 기준으로 가입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 유지심사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개인소득에 따라 기여금 지급여부와 규모 등을 조정하게 됩니다. 가구원 변동으로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가구소득 변동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자체 상품 등 저소득층 청년을 위해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에 동시 가입도 가능합니다.

     

    5,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 여부 확인 하기

     

     

    또한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여기에 중도해지도 포함되지만 청년희망적금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맞는 경우에만 저축장려금 지급, 비과세 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된 다음 다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게 되면 더욱 큰 목돈을 만들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현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되어 있는 청년은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단,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6,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도약제좌와 함께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도 곧 출시할 예정으로 가입조건은 총급여 5000만 원(종합소득금액 3800만 원) 이하 청년으로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는 경우 펀드 납입액(연 최대 600만 원)의 40% 소득공제 혜택을 최대 5년 동안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비과세 혜택 제공하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와 동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뱅크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자 대상과 불가한 경우 사유

     

    카카오 뱅크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자 대상과 불가한 경우 사유

    [카카오 뱅크 청년 전세 월세 보증금 대출] 카카오 뱅크 전월세 보증금 대출은 일반 전월세 보증금 대출과 청년 전월세 대출 이렇게 두 가지로 되어 있습니다. 특히 청년전월세보증금대출은 첫

    dalin2021.tistory.com

    ▲ 청년 저소득층 우대형 안심전환대출 지금 바로 받아야 하는 이유

     

    청년 저소득층 우대형 안심전환대출 지금 바로 받아야 하는 이유

    최근 대출 금리의 엄청난 상승으로 인해서 변동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힘든 시기입니다. 오늘은 변동금리 주담대를 장기·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우대형 안심 전환

    dalin2021.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