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노인 임플란트 국가 지원 사업 절차 대상]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에서 나빠지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치아입니다. 이번에는 "노인 임플란트 국가 지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치아는 평생 살아 있는 동안 우리가 사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의 건강한 노후에도 상당히 중요한 부위이기도 합니다.

     

    임플란트-사진
    임플란트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치아가 빠지는 경우가 많거나  평생을 사용 오면서 충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힘들게 됩니다. 국가에서는 노인들의 건강한 삶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서 임플란트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노인 임플란트 지원 사업은 2016년에 처음 도입을 하고 나서 지원 대상을 점차 확대하고 있습니다. 2018년 7월 이후에는 본인 부담금이 30%로 낮아지면서 실제로 임플란트 지원을 받아 시술을 할 경우 약 30~40만 원 정도에 부담을 하게 되면 임플란트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노인 임플란트 지원 대상

     

    65세 이상 (노인 임플란트 지원 사업을 처음 시작했을 때에는 70세 이상이었음)

    치아가 하나라도 있어야 함. (만약 치아가 하나도 없는 경우는 틀니로 지원을 받게 됨)

    예전에는 어금니만 지원을 해 주었지만 지금은 모든 치아에 임플란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인 임플란트 지원 갯수

    평생 2개의 임플란트를 지원받게 됩니다. 정부에서는 앞으로 임플란트 지원 개수를 더 늘릴 계획에 있습니다. 참고로 부분 틀니 지원을 받은 경우라도 임플란트(2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신청 방법 및 절차

     

    • 건강보험대상자 

    - 치과 병원 또는 의원이나 건강보험공단에 등록 신청

     

    • 의료급여 수급자

    - 시, 군, 구(읍, 면, 동)에 대상자 등록 신청

     

     

    → 등록 신청을 마친 뒤 14일 이내에 검토 및 결정을 해서 신청자에게 지원금 지급

     

     

    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노인 임플란트 본임 부담률

    의료보험인 경우 본인부담금은 30%로 약 30~40만 원 정도입니다. 

    의료급여 1종인 경우 본인부담금은 10%, 2종인 경우는 15%를 부담하면 되기 때문에 10~20만 원 정도 본인부담금을 지불하게 되면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참고로 2015년 본임 부담률이 50%(만 70세 이상 지원), 2016년 본인 부담률 50%(만 65세 이상), 2018년 본임 부담률 30%(만 65세 이상) 점점 부담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 혜택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임플란트의 경우 치료 기간이 상당히 오래 필요한 시술입니다. 한 번 시작하게 되면 6개월 이상 걸리고 중간에 다른 치과로 옮기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신중하게 치과를 선택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노인 임플란트 국가 지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직은 임플란트 개수가 2개로 정해져 있지만 앞으로 지원이 더 늘어나 많은 사람들이 좋은 혜택을 봤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