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인터넷 은행 시중 1금융권 은행에서 전세대출 가장 저렴하게 받을 수 있는 은행]
시중 금리가 올라가면서 집을 구입하거나 전세자금을 대출한 사람들에게 너무나 힘든 시기가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중에서 전세자금 대출을 가장 저렴하게 대출받을 수 있는 곳을 소개합니다.
아무래도 기존 1금융권 전세자금 대출보다 인터넷 은행에서 받는 전세자금 대출이 조금 더 저렴하게 받을 수 있는데 어떤 인터넷 은행에서 보다 저렴하게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1금융권 전세대출 금리
▶ KB국민은행 – 4.32%~ 5.72%
▶ 신한은행 – 3.81% ~ 4,82%
▶ 하나은행 – 4.668~ ~ 6.068%
▶ 우리은행 – 4.86% ~ 5.26%
인터넷은행과 시중 4대 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를 비교해 보면 최대 1%가 넘게 차이가 나고 있어 전세자금 대출을 받는 다면 시중은행보다 인터넷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것이 더욱 유리합니다.
전체 은행중에서 전세대출 금리가 가장 저렴한 곳이 카카오 뱅크 BNK부산은행, 케이뱅크 순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 인터넷 은행 전세자금 대출 금리
(1) 카카오뱅크 전세자금 대출
▶ 대출 금리(이자)
전월세 보증금 대출 – 연 3.594% ~ 4.417%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 연 3.406% ~ 3.627%
① 전월세 보증금 대출 조건
- 만 19세 이상 내국인
- 부부 합산 보유 주택 1 주택 이하
- 근로소득자(현 직장 재직 1년 이상) 또는 사업소득자
②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조건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내국인
- 근로소득자(재직기간 무관), 사업소득자, 기타 소득자 또는 무소득자
- 연소득 7,000만 원 이하
(기혼자는 배우자 포함)
- 부부 합산 보유 주택이 없는 고객
▶ 대상 주택
: 등기부등본상 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다가구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단독주택 등)
▶ 대출 불가능한 주택
- 임차대상 주책의 소유자와 임대인이 다른 경우
- 등기부등본상 소유권에 가압류 등 권리 침해가 있는 경우
- 미등기 건물(사용승인일로부터 1년 이내 신규 분양인 경우 가능)
- 신청인 직계존비속이 소유한 주택
- 무허가 건물
- 개인이 소유한 주택이 아닌 경우(단, 공공주택사업자, ㈜부영주택. ㈜ 우남건설. ㈜동광주택, 제일건설, GS건설 소유인 경우는 가능)
▶ 대출한도
① 전월세 보증금 대출
임차보증금의 80% 이내로 최대 2억 2000만 원(계약금, 중도금은 대출한도에서 차감)
②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임차보증금의 90%이네에서 최대 1억 원(계약금, 중도금은 대출 한도에서 차감)
전월세 보증금 대출과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의 경우 최소 대출 신청 금액이 500만 원 이상입니다.
▶ 대출기간
: 1년 이상 ~ 3년 이내(임대차 계약 만기일과 대출 만기일이 반드시 일치해야 합니다)
▶ 상환 방법
: 만기 일시 상환
▶ 필요한 서류
재직(사업) 확인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납부확인서, 사업자등록 증명원 등
소득 확인서류 – 소득금액 증명원 등
가족관계 증명서
주민등록등본
혼인관계 증명서(혼인신고일로부터 7년 이하인 경우)
4대 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1년 미만 재직자 한함)
2, 케이 뱅크 전세대출
① 전세대출 대상 조건
- 만 19세 이상 내국인
- 근로소득자(현 직장 재직기간 1년 이상) 또는 사업소득자
- 부부합산 무주택 또는 1 주택
- 1 주택 고객은 부부합산 연소득 1억 원 이하, 보유주택의 시세가 9억 원 이하
- 2020년 7월 10일 이후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내 시세 3억 원 초과 아파트를 취득한 경우 대출 불가
② 청년 전세대출 조건
- 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 잔금일 기준 34세 이하 내국인
- 근로소득자(재직 1개월 이상), 사업소득자, 기타 소득자 또는 무소득자
- 부부합산 무주택이고 합산 연소득 7,000만 원 이하
▶ 전세 대출 한도
① 전세대출
: 보증금 80% 이하로 최대 2억 2000만 원
② 청년 전세대출
:보증금 90% 이내로 최대 1억 원
전세대출과 청년 전세대출은 계약금과 중도금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 대출기간
: 1년 이상 ~ 3년 이내(대출 만기일은 임대차 계약 만기일과 반드시 일치)
▶ 상환방식
: 만기 일시상환
▶ 대출금리(2022년 8월 31일 기준)
① 전세대출
기준금리(2.90%) + 가산금리(0.56% ~ 1.61%) = 3.46%~ 4.51%
② 청년 전세대출
기준금리(2.90%) + 가산금리(0.45% ~0.52%) = 3.35% ~3.42%
대출금리는 실행일 기준으로 매 6개월마다 변동되고 신용이나 대출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필요한 서류
재직(사업) 확인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납부확인서, 사업자등록 증명원 등
소득 확인서류 – 소득금액 증명원 등
가족관계 증명서
주민등록등본
혼인관계 증명서(혼인신고일로부터 7년 이하인 경우)
4대 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1년 미만 재직자 한함)
3, BNK부산은행 전세자금 대출
▶ 대출 대상
- 임차보증금 5% 이상 지급한 세대주
- 부부 합산 주택 보유 1 주택 이하(부부 합산 연소득 1억 원 이하)
- 주택도시 보증 공사 보증서 발급 가능한 사람
- 보유주택이 투기, 투기과열지구 내 취득 시점 시가 3억 원 초과하는 아파트는 제외
▶ 대출 한도
임차보증금 80% 이하(수도권 최대 4억 원/ 지방 3억 2000만 원 이내)
▶ 상환방식
: 일시상환
(12개월 이상 ~ 25개월 이내)
▶ 대출금리
① 기본금리 : 2.21%
② 가산금리
기한연기 기간별 가산금리 – 6개월 미만: 1.50%/ 6개월 이상 ~ 1년 미만 : 1%/ 1년 이상 ~ 1년 6개월 미만 : 0.5%
③ 대출금에 따른 금리
- 대출금 1억 원 미만 : 0.4%
- 대출금 1억 원 이상 : 0.3%
▶ 우대금리 조건(최대 0.6%)
급여(연금) 및 가맹점 결제대금(요양급여 포함) 자동이체 : 0.2%
자동이체건수 : 0.1%
신용카드 회원 : 매 3개월 동안 사용금액 100만 원 이상 0.1%/ 200만 원 이상 0.2%
매 3개월 동안 인터넷 또는 스마트뱅킹 이용등록 및 계좌이체 송금실적 3회 이상인 경우 : 0.1%
매 3개월 동안 예금 평균 잔액이 1.5백만 원 또는 요구불예금 평균잔액이 100만 원인 경우 : 0.2%
▶ 필요한 서류
신분증
확정일자부 임대차계약서
계약금 지급 영수증
소득확인서류
재직확인서류
임차대상 목적물 건물등기사항 전부증명서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 증명서, 주민등록 초본(필요시)
지금까지 인터넷은행과 1 금융권 은행에서 가장 저렴하게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는 카카오 뱅크, BNK부산은행, 케이 뱅크 대출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케이뱅크 일반 청년 전세대출 한도 대상 주택 금리 알아보기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과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