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도약계좌]
요즘 한창 이슈가 되고 있는 것들이 바로 윤석열의 공약 중에서도 “청년 도약 계좌”입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서 실시하는 상품으로 10년 동안 최대 1억 원을 만들 수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공약입니다.
1, 청년도약계좌 가입 나이
19세~ 34세
2, 납입 한도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정부가 나머지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정부에서는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을 하게 됩니다.
3, 청년도약계좌 최대 받는 금액
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하고 3.5% 복리로 10년 동안 적금을 했다면 만기금액은 1억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4, 청년도약계좌 정부 지원금
소득구간에 따라서 정부에서 지원하는 장려금이 차등 지원됩니다. 연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의 경우는 청년 도약 계좌에 가입하고 3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에서 장려금으로 40만 원을 지원해 70만 원의 적립되는 것입니다.
5,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및 조건
가입 대상은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19세~34세 청년으로 소득 제한이 없기 때문에 소득이 있는 청년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는 연 3600만 원으로 소득제한이 있었지만 소득이 많은 경우는 가입이 불가능했습니다. 참고로 청년희망적금에 300만 명 이상 몰렸다고 합니다.
6,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기
2022년 5월 10일 이후에 가입 기간이 공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 정책을 조금씩 수정, 보완하고 있어서 정말 이런 혜택을 그래도 제공할지 그때 가봐야 할 것 같습니다.
7,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의 개인소득 외에도 가구소득이나 재산기준을 적용하고 있지만 소득이 높은 경우에는 장려금을 보조해주는 것을 대신해 비과세 혜택과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식형 또는 예금형, 채권형으로 운용형태를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어 자신에게 맞는 운용을 선택하면 됩니다.
<청년 연소득에 따른 정부지원금>
연소득 기준 | 월 납입금액 | 정부지원금 |
2400만 원 이하 | 30만 원 | 40만 원 |
2400만 원 이상 ~ 3600만 원 이하 | 50만 원 | 20만 원 |
36000만 원 이상 ~ 4800만 원 이하 | 60만 원 | 10만 원 |
4800만 원 이상 | 780만 원 | 비과세, 소득공제 |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인 청년 경우 월 3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이 무려 40만 원이 지원됩니다. 이렇게 월 납입 금액을 70만 원에 맞춰서 10년 뒤 1억 원을 만드는 것이 이번 청년 도약 계좌에 목표이기도 합니다.
만약 4800만 원 이상의 연소득인 청년은 정부지원금을 하나도 받을 수 없지만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가입자-정부-지원금](https://blog.kakaocdn.net/dn/bqjilB/btrx60fIlLt/ujdq6XK7etdsI5gl04C0ik/img.jpg)
8, 연소득 기준 정부 지원 금액과 수익률(이자 수익 제외) 알아보기
1)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 월 납입 금액 – 30만 원
정부지원금 – 고정 지원금 20만 원 + 저축액 비례 지원금 20만 원
10년 동안 3600만 원 납입해서 4800만 원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133% 수익률)
2) 연소득 2400만 원 이상 ~ 3600만 원 이하
청년 월 납입 금액 – 50만 원
정부지원금 – 지원금 20만 원
10년 동안 6000만 원 납입하고 2400만 원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40% 수익률)
3) 연소득 3600만 원 이상 ~4800만 원 이하
청년 월 납입 금액 – 60만 원
정부지원금 – 지원금 10만 원
10년 동안 7200만 원 납입하고 1200만 원을 지원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16% 수익률)
4) 연소득 4800만 원 이상
청년 월 납입 금액 – 70만 원
정부지원금 – 0원, 만기 시 비과세, 소득공제 혜택
10년 동안 8400만 원의 비과세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9, 청년도약계좌 재가입 사유
▲생채 최초 주택구입 ▲장기 실직 ▲장기 휴직 ▲재해 등으로 해지를 한 경우는 재가입이 가능합니다.
기존 문재인 대통령이 선보인 청년희망적금은 해지하면 재가입이 불가능했지만 이번 청년 도약 계좌는 해지를 하고도 다시 재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청년들도 “갈아타기”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에 있습니다.
10, 청년도약계좌 문제점
청년희망적금도 출시 당시 꼼수 때문에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 꼼수는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의 소득이 발생했다는 기록과 나이만 충족하면 가입할 수 있었고 가입 이후에 소득이 없어도 청년희망적금 유지조건이 충족되기 때문에 가입 후 부모가 대신 납입금을 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가장 큰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납입기간이 무려 10년이라는 것입니다. 솔직히 10년이면 앞으로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불안한 부분이 있기도 합니다. 10년 뒤 주택자금이나 종잣돈을 마련한다는 생각으로 납입하면 좋을 듯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또한 청년희망적금과 마찬가지로 청년 자신의 소득, 연령 기준을 충족하면 가입 가능하고 다만 부모님의 자산 여부에 따라 국가 지원금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가입 후 이런 문제점을 차단할 수 없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불가능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중에 있는 청년들은 앞으로 어떻게 정책이 변경될지 지켜봐야 합니다.
예상으로는 청년희망적금 가입 청년이 청년 도약 계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정책을 변경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향후 갈아타는 방법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비교](https://blog.kakaocdn.net/dn/BqUet/btrx8cfGVDT/wCS0uw1mFRQ4LvK35DJkX0/img.jpg)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비교>
구분 |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가입기간 | 만기 2년 | 만기 10년 |
가입대상 | 만 19세~34세 이하 청년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3600만원 이하 |
근로, 사업소득 있는 만 19세~34세 청년 누구나 가입가능 |
적금방식 | 월 50만 원 한도 내 자유적금 | 매달 70만 원(정부지원금 매달 10만 원~ 40만 원) |
적립금액 | 만기수령 시 약 1300만 원 | 총 1억 원 |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를 비교했을 때 정부지원금에서부터 엄청난 금액의 차기가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최대 5000만 원, 평균 4000만 원의 혜택을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는 2년 동안 최대 100만 원의 혜택을 볼 수 있는 것과는 비교가 될 수 없습니다.
▶ 경기도 청소년 생활장학금 신청 기간 방법과 대상 조건
경기도 청소년 생활장학금 신청 기간 방법과 대상 조건
[경기도 청소년 생활장학금] 경기도에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도내 중, 고등학생과 학교를 다니지 않고 있는 청소년에서 1년 동안 70만 원~100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는 “청소년 생활장학
dalin2021.tistory.com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공고 확인 및 자격 제외 대상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공고 확인 및 자격 제외 대상
[서울시 희망 두배 청년 통장] 서울시에서는 주거비와 학자금 대출상환, 결혼자금, 창업 운영자금 이렇게 4가지 목적으로 “1:1 매칭 저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바로 “희망 두배 청년 통장
dalin202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