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국민연금 연기연금제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하면 노후에 연금 수급 연령이 되면 죽을 때까지 매달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어 적은 돈이지만 노후에 버팀목 자금이 될 수 있습니다.
처음 국민연금을 시작했을 때 정년 60세에 맞춰 60세가 되면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었지만 1998년 1차 연금개혁을 통해서 2013년~2033년까지 60세에서 5년마다 1세씩 늦춰 최종 65세에 받게 만들었습니다.
1, 노령연금 출생연도별 수급 나이 알아보기
1952년 이전 – 60세
1953년~ 56년 – 61세
1957년 ~60년 – 62세
1961년 ~1964년 63세
1965년 ~68년 – 64세
1969년 이후 65세
국민연금을 받게 되는 수급자의 경우 자신이 처한 사회, 경제적 상황에 따라 노령연금 수급 나이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연금 지급 시기보다 조금 더 일찍 받는 조기노령연금과 연기연금입니다.
2, 연기연금제도
노령연금을 받을 나이가 됐을 때 최대 5년 동안 연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50~90%로 10% 단위로 정할 수 있음)의 수령을 늦춰서 노령연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조기노령연금과 정 반대로 연금을 받는 것입니다.
연기연금은 연기한 만큼 연금액이 연기한 1개월마다 0.6%씩 이자를 더 줘서 1년 연기 시 7.2%를 받을 수 있고 최대 5년 연기하게 되면 36%를 더 많이 받게 되는 것입니다.
3, 국민연금 10년 가입자가 연기연금 신청 시 늘어나는 금액 알아보기
1년 연기 – 107.2%
2년 연기 - 114.4%
3년 연기 - 121.6%
4년 연기 – 128.8%
5년 연기 – 136%
기존 수령연금이 100만 원이라고 하면 5년 연기를 하게 되면 136만 원을 매달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연기연금의 혜택을 볼 수 있는 나이는 100원 기준으로 79세 이상 살아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됩니다.
연기연금을 신청하게 되면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더욱 많아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의 신청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노령연금 수급권을 회득하고 최초 노령연금을 신청할 때나 연금을 받은 동안 희망하는 사람에 한해서 1회만 연기 할 수 있었는데 올해(2022년) 6월 22일부터 연기 신청 횟수 제한을 없애서 여러 번 연기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단, 연기할 수 있는 기간은 최대 5년으로 동일합니다.
연기연금을 신청할 때는 본인의 경제적인 소득과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는 많은 사람들은 건강이 좋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연기연금의 경우 재취업을 하거나 창업 등으로 당장 연금 없이도 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여유가 있고 건강 상태가 좋은 사람들에게 좋은 제도입니다.
3-1, 연기연금 제도 가입
연금 수령 시점
3-2, 연기연금 금액
전액 또는 50~90%로 10%로 단위로 선택
3-3, 연기연금 신청방법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 지사방문, 팩스, 우편접수로 가능
직접 방문 시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만 지참하고 방문하면 됩니다.
4, 조기노령연금
법정 노령연금 수급 연령 전에 본인이 신청해서 1년~5년 앞당겨 받는 연금을 말하는데 정년과 노령연금 사이에 소득이 없어 노후 생활에 어려운 사람들이 조기에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을 미리 받는 대신 단점이 있습니다. 1년 일찍 받을 때마다 6%씩 연금액이 줄어들어 5년 일찍 받게 되면 30% 감액된 연금을 평생 받게 되기 때문에 연금액이 많이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기노령연금을 손해 연금이라 부리기도 합니다.
조기노령연금은 최소 10년 이상 납부해야 하고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 이상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받을 수 없습니다.
참고로 2021년 전체 가입자 평균 소득월액이 253만 9천734원입니다. 이 금액을 넘는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조기노령연금을 받을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연기연금과 조기노령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조기노령연금은 손해 연금이라고 불리고 있을 정도로 연금 금액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연기연금의 경우 80세가 넘어야 연금을 연기한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잘 결정을 해야 합니다.
▶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추가납부 추후납부 신청 조건과 확인해야 할 것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추가납부 추후납부 신청 조건과 확인해야 할 것
[국민연금 수령액 올리는 추가납부 추후납부 신청 조건과 확인해야 할 것]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내야 하는 국민연금, 노후대책으로 실시하고 있는 제도지만 국민연금이 과연 노후대책이 될까
dalin2021.tistory.com
국민연금 연금 수령액 임의가입으로 늘리는 방법
[국민연금 연금 수령액 더 늘리는 방법] 국민의 안정적인 노후를 대비해서 실시하고 있는 국민연금, 말도 많고 탈도 많다고 알려지고 있지만 경기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서민들이 가장 안정적인
dalin202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