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은행 우리 여행드림 적금 숙박 혜택 이용방법] 우리은행에서는 “우리 여행드림 적금”이라는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최근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줄었지만 조만간 예전처럼 자유롭게 여행을 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우리은행 우리 여행드림 적금은 숙박, 렌터카 등 다양한 국내 여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여행드림적금”이 어떤 상품이고 어떤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리여행드림적금 특징 대부분의 여행적금의 경우는 해외여행 고객을 대상으로 하지만 우리 여행드림 적금은 국내여행 고객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국내 리조트 또는 펜션 1일 숙박 혜택이나 제주도 리조트/펜션 1일 숙박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 제휴된 국내 숙박시설(관리비 35,000원 별도 부담)을..

[장병내일준비적금] 군 복무를 하는 청년들을 위해서 정부에서 다양한 혜택을 마련하고 있는데 오늘은 그중에서 “장병 내일 준비 적금”이라는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병 내일 준비 적금은 군인만 가입할 수 있는 적금으로 군인이 30만 원을 납입하면 국가에서 10만 원을 추가로 납입해 군대 전역을 하면서 종잣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1, 장병내일준비적금 대상 현역(의무경찰 포함), 상근예비역, 전환복무요원, 사회복무요원으로 군 복무 중인 청년이라면 가입 가능합니다. 단, 가입 가능한 대상이라도 남아 있는 군 복무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1-1, 가입 대상 제외 알아보기 산업기능요원, 공중보건의, 전문 연구요원, 공중방역 수의사, 체육 예술요원, 승선근무예비역, 공익 범 무관, ..

청년들에게 목돈 마련을 위해서 정부가 실시하는 제도 중에 한 가지가 바로 “청년희망적금”입니다. 최근 실질적으로 금리 10%까지 준다는 적금이 바로 “청년희망적금”입니다. 오늘은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할 수 있는 시중 11개 은행 중에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 중에 한 곳인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조건이 되는 청년 대상자가 매달 최대 50만 원씩 2년 동안 납은 하게 되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저축장려금과 은행에서 제공하는 은행금리까지 더해져 높은 이자를 받게 되는 상품입니다. 특히 청년희망적금은 이자 소득세와 농어촌 소득세를 내지 않는 실질적으로 10% 가까운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됩니다. 1, 청년희망적금 ▶ 월 납입액 – 최대 50만 원 ▶ 금리 – ..

2008년부터 시행된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는 서민의 유리비 부담을 줄이고 경차 보급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 시행되는 제도로 지금까지 연간 20만 원이었던 환금 한도액을 올해 10만 원 이상 된 30만 원 상향조정했습니다. 경차 유류세 지원금 변경 사항 1, 경차 크기 조건 - 배기량 1000cc 미만 - 전장 3.600mm 전폭 1.600mm 전고 2,000mm 이하인 차량을 경차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2, 경차 종류 현대자동차 – 캐스퍼 기아자동차 – 모닝, 레이 한국지엠 – 스파크, 마티즈, 다마스 르노삼성자동차 – 트위지 경차 종류에 자신의 차량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위의 경차 조건에 해당되는 차량이면 유류세 환급카드를 발급받아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경차 지원금이란 주민등록상 한 가구에 10..

[전기차 서울시 실제 구입 가격 국가 지자체 보조금] 각 지자체 별로 전기차 보조금이 지급되기 시작했습니다, 올해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침이 변경되면서 100%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가격이 달라졌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에 많은 인기를 받고 있는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또한 1년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예산이 소진되기 전에 전기차를 구입하려고 하는 사람들도 보조금 100% 받을 수 있는 차를 구입할 것인지 아니면 보조금을 포기하고 품질이 좋은 전기차를 구입할지 고민이 생깁니다. ※ 2022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최고(100%) 800만 원 → 700만 원으로 하향 조정을 하고 보조금 100%를 받을 수 있는 차량 가격 상한선은 5500만 원, 보조금 50%를 받을 수 있는 차량 가격은 55..

[연금저축 퇴직연금 연금계좌 연말정산 세액 공제] 직장인들이 노후 대책과 함께 연말정산 혜택을 받기 위해서 많이 가입하는 것이 바로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입니다. 특히 두 항목은 연말정산을 할 때 다른 항목에 비해서 공제 혜택이 크기 때문에 아직 노후 대비를 위해서 생각 중에 있는 분들이라면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알아볼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의 경우는 연금계좌 공제항목으로 똑같은 공제한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연금계좌 세액 공제 항목 2가지 상품 : 연금저축, 퇴직연금 구분 내용 연금저축 연금저축계좌 근로자 납입액(총급여 1.2억 원 이하 400만 원/ 50세 이상 600만 원), 초과자는 300만 원 한도 퇴직연금 근로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른 DC형 퇴직연금, 개인형퇴직연금(IRP) 근로자 ..

[카카오 뱅크 주택담보대출 상품 알아보기] 카카오 뱅크에서는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처음으로 출시합니다. 모바일로 고객이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하게 되면 카카오 뱅크 챗봇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창이 열리고 챗봇의 질문에 따라서 주택 구입과 보유 여부 주소 소득 수준 등을 입력하게 되면 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조건을 반영해서 대출 한도와 금리를 적용하게 됩니다. 1, 주택담보대출 대출 한도 - 최대 6억 3000만 원 카뱅 주택담보대출 신청 2, 대상 주택 알아보기 – 수도권 소재 KB 시세 9억 원 이하 아파트로 보유주택이 없는 근로자, 사업 소득자 3, 대출 취급 종류 ① 신규 주택구입자금: 무주택세대 ② 생활안정자금: 1주택 세대 ③ 기존 주택담보..

[연말정산 교육비 공제] 연말정산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 중에 한 가지가 바로 “교육비 공제”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지출한 교육비 중에 어떤 항목에 대해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교육비 공제의 경우는 근로자가 “직계존속”에게 지출한 교육비는 연말정산에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부분이 다른 공제 항목과 다른 부분입니다. 단, 직계존속이 장애인 경우는 근로자가 지출한 “장애인 특수교육비”는 공제 대상입니다. ※ 직계존속 – 조부모, 부모(배우자 쪽 포함) 교육비 공제에 대해서 알아 둘 것 1, 근로자가 부양가족의 교육비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부양가족의 나이와 상관없이 해당 가족의 연 소득이 1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단, 장애인 특수교육비는 제외입니다...